농식품부, 수출용 쌀 가공공장 6개소와 합동 수출식 개최

우리쌀 중국으로 첫 수출길 열려

-농식품부, 수출용 쌀 가공공장 6개소와 합동 수출식 개최

추청, 오대, 삼광, 신동진 등 친숙한 품종의 국산 쌀 30톤이 중국으로의 첫 수출길에 오른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 이하 농식품부)는 1월 29일(금), 전북에 위치한 군산항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우리 쌀의 대중국 첫 수출식을 갖는다고 밝혔다.

6년간 끌어오던 대중국 쌀 수출 협상(수입위험분석 착수요청)이 지난해 9월, 한․중 정상회담 시 박대통령의 요청을 계기로 쌀의 수입 위험분석이 이례적으로 신속히 진전되어 지난 1월13일, 중국이 한국 내 수출용 쌀 가공공장(6개소)을 최종 공고함에 따라 우리쌀의 대중국 수출이 가능해진 것이다.

농식품부는 중국의 최종 공고 즉시 쌀 수출을 개시할 수 있도록 지난 11월부터 지자체, 쌀 가공공장, 무역업체(대우인터내셔널), 유통업체(롯데마트) 등과 「대중국 쌀 수출추진 TF」를 운영해 왔다.

이를 통해 공동 포장지 결정, 품질․위생검사, 훈증소독 등 수출 절차를 차근차근 준비해 공고 후 2주 만에 우리 쌀의 첫 대중국 수출이 가능해졌다.

이번에 첫 수출되는 쌀 30톤은 시장테스트 차원에서 다양한 품종과 포장 단위로 구성되고, 한국산 쌀의 효과적인 홍보를 위해 6개 업체가 공통 디자인을 활용했다.

또한, 첫 수출을 시작으로 내달 중순경에는 약 70톤 가량의 쌀을 대우인터내셔널과 중국 국영식품기업인 COFCO(중량)를 통해 2차로 수출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날, 이동필 장관은 인사말을 통해 합동 수출에 적극 협조한 가공업체 등의 노고를 치하하고, "최근 쌀 수급불균형이 지속되는 가운데 중국 쌀 시장 확보가 우리 쌀 수출의 새로운 도약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우리 쌀이 중국에서 고급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국 쌀끼리 경쟁하기 보다는 타국 제품과 경쟁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는 데 최선을 다해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우리나라는 지난 해 미국, 호주 등 46개국으로 2,238톤(약 5,154천불)의 쌀을 수출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서울시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