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스푸어 주택 매입, 임대주택으로 공급
7월부터 대출 원리금 상환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하우스푸어 주택을 리츠가 매입한다.
국토교통부는 29일 '희망 임대주택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희망 임대주택 리츠)'가 영업인가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희망 임대주택 리츠'는 과도한 원리금 상환부담으로 주택을 처분하고 싶지만 거래가 이뤄지지 않아 고통을 받고 있는 이른바 하우스푸어의 주택을 매입해 임대주택으로 공급하게 된다.
희망 임대주택 리츠는 지난 23일 설립 등기를 마쳤으며 우리투자증권이 금융주관사로 투자자를 모집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자산관리회사로 투자, 운용을 담당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관계기관 의견 조회 등을 거쳐 다음달 초 영업인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에따라 희망 임대주택 리츠는 5~6월 중 주택 매입 공고를 하고 7월 중 매매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사업계획을 보면 국민주택기금과 시중은행 등으로부터 1500억원 규모의 사업비를 조달해 전국을 대상으로 1가구 1주택자의 전용면적 85㎡ 이하 아파트 (또는 아파트 지분) 500가구를 역경매 방식으로 매입해 임대한다.
리츠는 근저당권 등 주택의 권리관계를 정리하기 위해 매각대금 중 주택담보대출 전액을 대출기관에 상환하고, 차액을 매도자에게 지급하므로 매각 희망자는 LTV 비율이나 다중채무 여부와 관계없이 주택 매각을 신청할 수 있다.
임대기간은 5년으로 하고 원소유자가 계속 거주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 새로운 임차인을 모집한다. 기존 임차인이 있는 경우 리츠가 전세계약을 승계해 기존 임차인을 보호한다.
원소유자에게는 주택을 우선 재매입할 수 있는 권리를 준다. 5년 후 원소유자가 재매입을 원하지 않을 경우 일반에 매각하며 매각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LH가 사전에 약정한 금액으로 매입해 임대주택으로 활용하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