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전쟁기념관에서 열린 안작데이 추모행사에서 귀빈들이 묵념하는 모습이다. (왼쪽 두번째부터 강신철 연합사 부사령관, 백승주 전쟁기념사업회장, 데릭 매컬레이 유엔사 부사령관). (출처=전쟁기념관)
25일 전쟁기념관에서 열린 안작데이 추모행사에서 귀빈들이 묵념하는 모습이다. (왼쪽 두번째부터 강신철 연합사 부사령관, 백승주 전쟁기념사업회장, 데릭 매컬레이 유엔사 부사령관). (출처=전쟁기념관)

[서울시티 선정진 기자] 오늘 새벽 전쟁기념사업회(회장 백승주, 이하 사업회)가 운영하는 전쟁기념관에서 호주와 뉴질랜드 현충일 ‘안작데이(ANZAC DAY)’ 추모행사가 열렸다. 

오늘 행사에는 백승주 전쟁기념사업회장, 던 베넷 주한뉴질랜드대사, 제프 로빈슨 주한호주대사, 무랏 타메르 주한튀르키예대사, 콜린 크룩스 주한영국대사, 국가보훈부 강정애 장관, 자비에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 강신철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데릭 멕컬레이 유엔군사령부 부사령관 등 국내외 귀빈 100여명이 참석하여 전쟁에서 희생된 호주·뉴질랜드 참전용사들의 넋을 기렸다.

베넷 주한뉴질랜드대사는 “오늘날의 한국은 70여 년 전 자유를 위해 싸운 이들의 희생으로 이루어졌다”며, “매년 열리는 이 행사로 그들을 잊지 않고 기억할 수 있다”고 말했다.

로빈슨 주한호주대사는 “신성한 곳인 전쟁기념관에서 안작데이 추모행사를 진행할 수 있어 감사하다”고 밝히며 “소중한 가치를 위한 그들의 희생은 언제나 기억될 것”이라고 말했다.

25일 전쟁기념관에서 열린 안작데이 추모행사 모습이다. (출처=전쟁기념관)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은 안작데이 추모행사에 참석해 뜻깊다는 소감을 전하며 “6·25전쟁에 참전한 호주와 뉴질랜드의 희생을 대한민국 정부와 국민은 절대 잊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백승주 사업회장은 “뜻깊은 행사를 전쟁기념관에서 열 수 있어 영광”이라며, “사업회는 앞으로도 주한유엔참전국대사관과 협력해 참전국과 참전용사를 기리는 행사 지원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안작(ANZAC)’은 ‘Australian and New Zealand Army Corps’(호주·뉴질랜드 연합군)를 의미한다. 안작데이는 1915년 4월 25일, 제1차 세계대전의 튀르키예 갈리폴리 상륙작전 중 전사한 호주·뉴질랜드 연합군을 추모하기 위해 제정된 기념일이다. 오늘날에는 모든 전쟁에서 희생된 호주·뉴질랜드 참전자를 추모하는 현충일의 의미를 담고 있다. 안작데이 추모행사는 호주 및 뉴질랜드 전역은 물론 한국, 튀르키예, 영국, 프랑스 등 세계 곳곳에서 4월 25일 새벽에 개최된다. 한국의 안작데이 추모행사는 2007년부터 매년 전쟁기념관에서 열리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시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