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정상 ‘수리의 달인’과 함께 장난감 수리소 등 개관, 순환경제 실천 강화
‘서울제로마켓’ 지원 확대, 일상 속 제로웨이스트 문화확산의 중심지로 도약
‘제로웨이스트’ 페스티벌 연2회 개최, 교육대상 확대 등 새활용 문화확산 노력

제로웨이스트 페스티벌 (출처=서울디자인재단)
제로웨이스트 페스티벌 (출처=서울디자인재단)

[서울시티 선정진 기자] 서울디자인재단(대표이사 차강희, 이하 재단)은 디자인을 통해 ‘제로웨이스트 서울’을 실현하는 서울새활용플라자(서울 성동구 소재)의 2025년 운영 계획을 발표했다. 서울새활용플라자는 제로웨이스트 문화를 시민들이 더욱 친숙하게 경험할 수 있도록 교육과 체험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서울의 거점으로 자리 잡을 계획이다. 

지난해 서울새활용플라자는 연간 방문객 수가 전년 대비 2배 증가한 11만 명을 기록하며 제로웨이스트 문화확산에 기여해 왔다. 

먼저 재단은 올해 서울시와 협력해 ‘서울에 버려지는 장난감은 없다’라는 슬로건 아래 <장난감수리소>를 개관한다. 이를 통해 버려진 장난감을 회수·수리·새활용하는 과정을 어린이들과 시민들에게 소개해 자원순환에 대한 인식을 높일 예정이다. 아울러, 장난감 수리 과정에서 시니어 일자리도 창출해 지속 가능한 순환 경제 모델 구축에도 기여할 예정이다.

재단은 올해 서울제로마켓 지원 대상을 확대한다. 신규 제로웨이스트 매장뿐만 아니라, 제로웨이스트 제품 및 서비스를 개발하는 기업과 기존 매장까지 포함해 시민들이 일상에서 제로웨이스트를 접할 수 있는 거점을 더욱 늘려갈 계획이다.

포스터 (출처=서울디자인재단)
포스터 (출처=서울디자인재단)
찾아가는 특별 교육 (출처=서울디자인재단)
찾아가는 특별 교육 (출처=서울디자인재단)
기업연계 자원순환 콘텐츠 사업 (출처=서울디자인재단)
기업연계 자원순환 콘텐츠 사업 (출처=서울디자인재단)
새활용 소재유통 ‘소재은행’ 운영(지하1층) (출처=서울디자인재단)
새활용 소재유통 ‘소재은행’ 운영(지하1층) (출처=서울디자인재단)

제로웨이스트 페스티벌은 생활 속에서 순환경제를 경험할 수 있도록 연1회 개최했다. 올해부터는 이 행사를 2회로 확대하고 서울새활용플라자의 다양한 콘텐츠와 연계해 더욱 풍성한 즐길거리와 교육적 요소를 제공할 계획이다.

올해 서울새활용플라자는 연간 2만여 명이 참여하는 교육을 목표로 ‘제로웨이스트 아카데미’를 운영한다. 교육과정은 크게 탐방교육과 테마교육, 특별교육으로 나뉜다.

한편, 서울새활용플라자는 민간기업들과 협력해 폐장난감과 폐보일러 등 다양한 자원을 활용한 작품을 새활용 거리에 전시하며 ‘제로웨이스트 친환경 테마파크’ 조성의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차강희 서울디자인재단 대표이사는 “서울새활용플라자는 자원순환 공간을 넘어, 디자인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어가는 곳”이라며 “다양한 교육과 체험 기회를 제공해 시민들이 일상에서 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시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