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서부선 도시철도 실시협약'이 지난 12월 열린 '2024년 기획재정부 제5회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서부선 경전철은 2028년 개통 예정이다. (출처=서울정보소통광장)
서울시는 '서부선 도시철도 실시협약'이 지난 12월 열린 '2024년 기획재정부 제5회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서부선 경전철은 2028년 개통 예정이다. (출처=서울정보소통광장)

2024년, 서울의 서북부 관문이자 자연과 도시가 공존하는 은평구는 혁신과 성장의 해를 맞이했다. 주민의 삶에 밀접한 다양한 정책과 변화가 구체화되며 은평구는 지속 가능한 미래로 도약하고 있다. 

1. 신사동 일대 재개발, 새로운 도시 중심지로 변모
신사동 일대 재개발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어 새로운 주거 및 상업 중심지로의 변화를 앞두고 있다. 현대적인 아파트와 편의시설이 확충되며 지역 가치가 한층 높아질 전망이다.

2. 불광천 생태 복원 사업 완료
불광천이 생태 복원 사업을 통해 자연과 사람이 어우러진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산책로와 자전거 도로가 정비되고, 하천 생태계 복원으로 주민들이 도심 속 자연을 가까이에서 즐길 수 있는 힐링 공간이 조성되었다.

3. 응암동 지역화폐 활성화, 소상공인 지원 강화
은평구는 응암동을 중심으로 지역화폐 활성화를 통해 소상공인 지원을 강화했다. 지역화폐 이용 시 할인 혜택과 다양한 프로모션을 제공하며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4. 은평구 공공의료센터 확충
주민들의 건강을 위한 공공의료센터가 대폭 확충되었다. 지역 내 노인과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전문 의료 서비스와 예방의학 프로그램이 강화되며, 은평구는 더 건강한 지역사회로 거듭나고 있다.

5. 은평구 스마트 행정 시스템 도입
2024년 은평구는 디지털 행정을 본격화하며 스마트 행정 시스템을 도입했다. 주민들이 비대면으로 민원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플랫폼과 AI 기반의 행정 데이터 분석 시스템은 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6. 진관동 친환경 주택 단지 조성
진관동에 친환경 주택 단지가 조성되었다. 태양광 패널, 스마트 에너지 관리 시스템 등 친환경 기술이 도입된 이 단지는 은평구가 지속 가능한 도시로 나아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7. 은평뉴타운, 생활 인프라 확충
은평뉴타운에 생활 편의시설이 대거 확충되었다. 주민을 위한 공공도서관, 체육시설, 문화 공간 등이 조성되며, 은평뉴타운은 살기 좋은 주거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8. 은평구 문화예술 거리, 새로운 랜드마크로 부상
은평구는 문화예술 거리 조성을 통해 새로운 관광 명소로 거듭났다. 소극장, 갤러리, 예술 체험 공간이 들어서며 지역 주민뿐 아니라 외부 관광객들에게도 큰 호응을 얻고 있다.

9. 기후 위기 대응, 탄소 중립 선언
은평구는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 2024년 탄소 중립 선언을 했다. 도시 숲 확대, 전기차 충전소 확충, 재활용 캠페인 강화 등 지속 가능한 도시로 전환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10. 은평구-서울시 연계 교통망 확장
은평구와 서울 도심을 연결하는 교통망이 대폭 확장되었다. 새로운 버스 노선과 급행 지하철 노선의 신설은 주민들의 출퇴근 시간을 단축시키며 교통 편의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2024년 은평구는 자연과 도시가 조화를 이루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실현하며,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다양한 정책을 시행했다. 지역의 가치를 높이고 미래 지향적인 도시로 나아가는 은평구의 도전은 서울 서북부 지역의 새로운 성장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시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