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소설로 보는 서울의 역사와 시민들의 삶…서울역, 전차, 버스 등 교통수단 변천사 조명
일제강점기 종로 네거리 화신백화점 주변 거리 풍경[서울시티=선정진 기자] 서울역사편찬원(원장 이상배)이 서울문화마당 제25권 <서울의 현대소설>을 발간했다. 송민호 홍익대 교수가 쓰고 권은 한국교통대 교수가 감수한 이번 도서는 서울을 배경으로 한 다양한 현대소설을 통해 서울의 역사와 문화, 사회상을 조명한다.
<서울의 현대소설>은 서울역, 인력거, 전차, 택시, 버스 등 교통수단의 변천사와 함께 서울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려낸다.
먼저 이수일과 심순애로 유명한 조중환의 <장한몽>, 한용운의 <박명>을 통해 서울역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다양한 인물들의 삶을 보여준다. ‘근대의 상징’ 이었던 서울역 정거장과 대합실은 근대 서울사람들의 격동하는 삶을 보여주는 거울이 되었다.
이어 현진건 <운수 좋은 날>, 박태원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을 통해 서울 시내를 오갔던 인력거와 무료하게 산책하는 사람들의 모습 속 삶의 아이러니를 보여준다.
다음 장에서는 노자영 <반항>, 박경리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하근찬 <전차구경>을 통해 전차의 운행과 퇴장을 그리며, 서울 거리에서 일어나는 사람들의 삶과 추억에 대해 묘사한다.
네 번째 장에서는 유진오의 소설 <김강사와 T교수>, 박태원의 <적멸>속 택시와 버스를 통해 변화하는 서울 거리와 사회상을 표현한다.
다섯 번째 장에서는 6.25전쟁 이후 서울의 혼란과 일상을 정비석의 <자유부인>, 이범선 <오발탄>, 김승옥 <서울 1964년 겨울>을 통해 살펴본다.
여섯 번째 장에서는 전쟁 후 복구되기 시작한 서울의 번잡함과 서울살이의 어려움을 이호철의 <서울은 만원이다>, 박태순의 <서울의 방> 등을 통해 살핀다.
<서울의 현대소설>은 시민청 서울책방에서 구매할 수 있고, 서울 소재 공공도서관과 서울역사편찬원 누리집에서 전자책으로도 열람 가능하다.- 서울역사편찬원 누리집 : history.seoul.go.kr
이상배 서울역사편찬원장은 “이번 <서울의 현대소설>을 통해 소설 변화하는 서울의 문화와 사회상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시민들이 서울의 역사를 흥미롭게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주제의 서울문화마당 시리즈를 계속해서 발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