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삶에 존재하는 다양한 사랑의 순간들을 그려낸 합창음악들을 만나는 무대
낭만주의 시대 작곡가부터 현대의 우리나라 작곡가까지 국내외 작곡가들의 명곡 선사
[서울시티=김청월 기자] 세종문화회관(사장 안호상)이 오는 10월 17일(목)과 18일(금) 양일 간 세종문화회관 체임버홀에서 서울시합창단(단장 박종원)의 M 컬렉션 시리즈 II <낭만적인 낭만>을 공연한다. 지난 5월 선보인 M 컬렉션 시리즈 <고전과 낭만>에 연결하여 선보이는 공연이다. M 컬렉션 시리즈(Masterpiece Collection Series)는 음악사적 걸작을 중심으로 국내외 작곡가들의 창작곡 등 여러 작곡가들의 작품을 통해 합창음악의 매력을 전하는 서울시합창단의 브랜드 공연이다.
지난 공연 <고전과 낭만>에서 하이든의 ‘전쟁미사’와 브람스의 ‘사랑의 노래 왈츠’를 구성해 ‘전쟁과 사랑(War&Love)’을 주제로 한 무대를 선보였다면 이번 공연 <낭만적인 낭만>에서는 ‘낭만에 낭만을 더한 사랑 이야기(Fall in Love)’로 국내외 작곡가들의 명곡을 만난다.
1부에서는 19세기 낭만주의 시대를 풍미한 로베르트 슈만의 ‘스페인 노래극’으로 낭만시기의 사랑을 그려낸다. 슈만의 ‘스페인 노래극’은 1849년 작곡된 곡으로 이때는 슈만의 정신질환이 깊어지던 시기였다. 독창, 이중창, 혼성합창 등 다양한 성부 구성에 볼레로 리듬과 같은 스페인풍 음악재료가 섞인 독특한 형태로 구성되었다. 예술을 향한 고뇌와 열망, 사랑한 아내 클라라와의 사랑의 감정이 모두 투영된 것처럼 이 곡은 슈만의 복잡한 내면과 은밀함을 표현하고 있다. 그렇지만 마지막 노래에서처럼 슈만은 그럼에도 당신이 누군가에게 사랑받고 있는 존재라는 것을 이곡을 통해 강조하고 있다.
2부에서는 우리나라 작곡가들의 가곡을 시작으로 낭만에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기와 지역의 사랑을 선보인다. 괴테의 시를 가사로 삼고 있는 박나리의 ‘첫사랑’은 찬란했던 시절을 떠나보낸 쓸쓸함을 담고 있다. 김순이의 시에 곡을 붙인 박하얀의 ‘사랑을 만나면’은 삶의 한 순간을 눈부시게 만드는 마법 같은 사랑의 힘을 노래한다. 윤학준의 ‘마중’은 대중에게 많은 사랑을 받은 작품으로 이번 공연을 위해 이호준이 편곡하여 첼로와 함께 새롭게 선보인다. 우리 가곡에 이어 낭만적인 가을밤을 담고 있는 요하네스 브람스의 ‘네 개의 사중창’이 이어진다. 이 곡은 네 명의 대표적인 독일 낭만 시인이 쓴 밤에 관련된 시를 모아 작곡된 곡이다. 맑은 밤의 정경, 우울과 사색이 교차하고 사랑을 회복하는 밤을 그리는 등 브람스 특유의 유려한 음악적 표현이 돋보이는 곡이다. 다음으로 이어지는 1969년생 작곡가 데이비드 N. 차일즈의 ‘그대의 맨발이 닿는 곳’은 작곡가 본인의 신부를 위한 낭만적인 작품이다. 2부의 마지막 곡은 20세기를 대표하는 레너드 번스타인의 <캔디드>에 등장하는 ‘우리의 정원을 가꾸자’로 우리의 삶에 사랑이 존재하는 이유를 드러낸다.
<낭만적인 낭만> 공연에 대해 서울시합창단 박종원 단장은 “언어와 문화를 아우르는 사랑의 노래들로 꾸며지는 이번 공연이 관객들에게 ‘인간의 삶에 존재하는 다양한 사랑의 순간들’을 떠올리게 하는 아름다운 무대로 기억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서울시합창단은 관객을 위해 온라인으로 사전 공연 안내서를 제작해 왔다. 이번 공연에서는 연주곡들의 가사를 엮어 연애편지 형식으로 특별히 재구성 한 작품해설과, 작품의 이해를 돕는 오디오가이드를 제공한다. 지난 <고전과 낭만> 공연에서 각각 작품해설과 오디오가이드 대본 집필을 맡은 송은혜(「일요일의 음악실」 저자)와 정의경(음악학 박사)이 참여하여 두 개 공연의 결을 이어가고, 오디오가이드 내레이션에는 김진웅(KBS 아나운서)가 또다시 참여하여 친절한 공연 안내서를 완성한다.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를 졸업한 김진웅은 올해 6월 서울시합창단 <음악의 결> 공연에서 공연해설을 담당하기도 했다.
깊어가는 가을 밤, 합창음악을 통해 사랑을 노래하는 서울시합창단 M 컬렉션 시리즈 II <낭만적인 낭만> 공연은 세종문화회관 홈페이지와 대표 번호를 통해 예매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