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와 서울시어린이집연합회 민간분과위원회 공동주최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위원장 김기옥(민주당, 강북1))는 2013년 11월 6일(수) 오후 2시, 서울시어린이집연합회 민간분과위원회와 공동주최로 「공정한 보육 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 고찰」이라는 주제로 보육정책토론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토론회는 무상보육정책의 전면 확대 이후 첫해를 지내면서 보육현장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의견들을 청취하고 정부지원시설과 미지원시설간 공정한 보육환경 조성을 위한 발전적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한편, 이번 토론회는 그동안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가 지난 8월부터 진행중인 릴레이식 보육현장과의 소통 간담회의 일환으로 마련된 것으로, 지난 8월6일 가정어린이집 원장들과의 소통 간담회, 8월 21일 무상보육 재원부족 해법 마련을 위한 공개토론회, 그리고 9월11일 국공립어린이집원장들과의 소통 간담회에 이어 네 번째로 마련되었고, 이번 토론회는 특히 민간어린이집을 중심의 보육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하기 위한 것이다.

 김기옥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은 인사말에서 “올해는 전면 무상보육 실시의 원년으로, 제도 시행 초기인 만큼 정책의 실효성 논란에서부터 보육현장의 인프라 구축 요구, 무상보육 지속을 위한 지방재원 확보 논란에 이르기까지 지난 몇 개월 동안 무상보육을 둘러싼 많은 이슈들이 제기되고 확대되었던 한 해”였다고 말하고,“이처럼 보육 문제가 뜨거운 이슈가 되는 이유는 보육정책이 단순히 아이들의 양육문제로만 귀결되지 않고, 가정과 여성의 문제, 일자리의 문제, 그리고 노령사회의 문제와 연관되는 중차대한 사안이기 때문”이며,“그러므로 보육정책이 어떻게 설계되고, 또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구현되어 가는지는 그 사회의 복지정책 정향이 어떠한지를 보여주는 바로미터가 될 것이기에 현장의견 수렴을 위한 오늘의 자리가 더 뜻 깊다”이라고 말했다.

 이어지는 본격적인 토론회에서는 무상보육 실시 이후 보육현장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문제와 이를 해소하기 위한 열띤 토론이 진행되었다.

 

 

 

 

 

 패널로 참석한 토론자들은 각 계층을 대표하여 무상보육 실시 이후 보육현장에 요구되는 다양한 정책 의견을 제시하였다.

  김기옥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은“이제는 보육서비스가 완전히 공적 체계안으로 진입한 만큼 이에 상응하는 사회적으로 합의된 보육정책의 지향점을 찾고, 애초 무상보육지원의 취지가 극대화 될 수 있도록 중앙정부는 물론 지자체, 그리고 어린이집 관계자, 학부모 등 각계각층의 고민과 역량을 한데 모으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 앞으로도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는 현장의 요구와 어려움 등에 적극 귀 기울이며, 보육발전을 위한 발전적 대안을 모색하는데 최선을 노력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시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