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공공언어 바르게 쓰기` 협약식 맺고 용어 순화 나서

   
 

서울시는 23일 국립국어원, 한글학회, ㈜한글과컴퓨터 등 10개 기관과 어려운 행정용어를 순화하기 위한 `서울시 공공언어 바르게 쓰기` 업무협약을 체결했다.협약에 따라 ㈜한글과컴퓨터는 서울시의 워드프로세서에 행정용어 순화 기능을 추가해 직원이 공문서를 작성할 때 시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용어를 사용하도록 돕게 된다.예를 들어 건축 행정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인 `가건물`이 `임시건물`로 자동 교정되는 식이다.참여 기관인 ㈜나라인포테크는 `한국어 맞춤법ㆍ문법 검사기`를 서울시 내부전산망에 설치해 직원이 바른 우리말을 사용하도록 유도한다.또 국립국어원과 한글학회 등은 온라인 강의와 표준국어대사전 등 다양한 국어 콘텐츠를 서울시 내부전산망과 `한글사랑 서울사랑` 홈페이지(hangeul.seoul.go.kr)에 제공하게 된다.박원순 시장은 이날 시청 간담회장에서 열린 협약식에 참석해 영국의 `쉬운 영어 쓰기 운동`을 예로 들며 "사회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공공기관이 한글을 바로 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쉬운 영어 쓰기 운동은 1970년대 영국에서 어려운 행정용어로 된 안내문을 이해하지 못해 난방비를 신청하지 못한 영세민이 동사한 사건을 계기로 일어난 사회운동이다.

저작권자 © 서울시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