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생두 부의장, 잠실3동 3149명으로 최다, 소공동은 95명으로 최소

   
 

서울시의회 행정자치위원회 진두생부의장(한나라, 제3선거구)은 2011년도 서울시 행정감사를 위하여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각 동 주민자치센터 직원수 및 주민수 관련자료를 분석하여 결과를 발표했다.진두생의원에 따르면 “서울시 각 동 주민자치센터의 직원수 대비 주민수를 비교해 보면 각 센터 간 편차가 최대 33배에 이른다”면서, “각 주민자치센터의 행정수요에 맞춰서 직원의 재배치가 요구된다” 고 주장했다. ▲각 자치구별 동 주민자치센터직원 1인당 주민수순위자치구주민수순위자치구주민수순위자치구주민수1강동구2,28610관악구1,72718마포구1,4292송파구2,06511강북구1,65819서초구1,4253구로구1,92012동대문구1,62320서대문구1,3854중랑구1,86413성북구1,61921성동구1,1665양천구1,84014동작구1,60122노원구1,1506강서구1,834자치구 평균1,56223용산구1,0607은평구1,82415강남구1,55524종로구7328광진구1,78416금천구1,51725중 구6039도봉구1,75317영등포구1,5042011년 9월 30일 현재 서울시 인구수는 10,034,210명, 서울시 자치센터 직원수는 6,422명(공익요원 등 제외, 순수 공무원 숫자)으로서 직원 1인당 평균 1,562명의 주민수를 보이고 있다. 강동구의 주민자치센터가 직원1인당 2,286명으로 가장 많은 주민수를 보이며, 송파구가 2,065명, 구로구가 1,920명의 순 이었다. 반면 중구가 603명으로 가장 적은 주민수를 보였고, 종로구가 732명, 용산구가 1,060명 순이었다. 전체 자치센터 평균 1,562명보다 적은 주민수를 보인 곳은 중구를 비롯하여 11개 자치구였다.각 동 주민자치센터 별로 보면 중구소공동의 동직원 1인당 주민수는 95명으로 가장 작고, 중구 을지로동 145명, 중구 명동 229명의 순이었다. 반면에 송파구 잠실3동의 동직원 1인당 주민수는 3,149명으로 가장 많았고, 강동구 길동 3,029명, 송파구 잠실2동 2,849명의 순으로 많았다. 직원1인당 주민수가 가장 작은 소공동과 가장 많은 잠실3동과의 편차는 33배에 달했다.각 동 주민자치센터의 직원수 대비 주민수의 지나친 편차는 행정수요에 대한 행정서비스의 불균형, 행정력 낭비, 지역 주민들의자치센터에 대한 반감, 직원 상호간의 위화감조성, 불필요한 인력배치로 인한 예산 낭비 등등의 문제점이 예상된다. 이에 진두생의원은 “각 주민자치센터간에는 지역여건이 상이하여 어느 정도의 행정수요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행정수요는 주민수에 비례한다”고 전제 한 뒤, “서울시와 각 자치구는 긴밀히 협조하여 행정서비스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예산이 효율적으로 집행 될 수 있도록 인력재배치를 근본적으로 검토하여야한.”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서울시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