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마을과 시장을 연결하는 새로운 도시재생 모델인 ‘전통시장 연계형 도시재생사업’에 착수한다. 올해 안에 시범 사업지 2곳을 선정해 2020년부터 사업을 본격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시범 사업지의 후보지로 ‘전통시장 연계형 도시재생 희망지 사업’ 6곳을 지난 15일(수) 선정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희망지는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기에 앞서 주민‧상인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사전단계에 해당한다.

6곳은 성북구 장위동68-14 일대(장위전통시장), 성동구 용답동13-22 일대(용답상가시장), 강서구 화곡동370-37 일대(화곡중앙골목시장), 강북구 수유동605-248 일대(장미원골목시장), 마포구 연남동277-15 일대(동진시장), 중랑구 면목3,8동459-1 일대(사가정시장)다.

6개 지역의 전통시장 상인과 배후 주거지 주민들은 마을과 시장이 상생하고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하게 된다. 주민모임 운영, 도시재생 교육, 지역조사 및 의제 발굴 등의 단계를 거쳐 주민이 직접 재생사업을 발굴‧제안하고 → 지속성‧효율성‧파급력과 지역 주민 간 공감대 등을 고려해 각 지역별로 도시재생 활성화계획 기본구상안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전통시장 연계형 근린재생 희망지사업 대상지 현황

서울시는 이런 활동을 토대로 시범 사업지 2곳을 연말에 선정할 계획이다. 도시재생 코디네이터가 사업 기간 동안 모니터링한 결과와 사업이 종료 시 평가위원회의 종합 평가를 바탕으로 최종 선정된다. 주민의지‧역량, 주민들이 발굴한 사업 내용, 지역 파급효과, 지역경제 기여도 등을 평가요소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시는 희망지 사업규모와 지역별 특성을 감안해 지역당 최대 5천만 원의 사업비와 전문가(도시재생 코디네이터) 파견을 지원한다. 이후 시범 사업지로 선정되면 지역특성, 사업내용 등을 감안해 개소 당 100억 원 이내의 사업비가 지원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전통시장 연계형 도시재생을 통해 그동안 소상공인에 국한됐던 기존의 지원방식에서 벗어나 시장 본래의 마을 공동체마당(市場)으로써 기능을 회복하고 유통‧인구구조 등의 변화와 임대료 상승 등의 문제를 마을 주민(소비자)들과 함께 해결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신중진 평가위원장은 “여러 분야의 전문가가 평가위원으로 참여해 객관적으로 심사가 이뤄졌다”며, “희망지 사업을 통해 서울의 새로운 도시재생 모델이 자리매김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강맹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은 “도시의 어원에는 시장이 포함된다. 도시재생 자원 관점에서 시장의 가치는 중요한 요소다. 이번 6개소 희망지 사업을 통해 서울의 도시재생사업을 한층 더 강화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며, 희망지 사업 단계부터 상인과 지역주민 간 공감대 형성을 최대한 이끌어 내기 위해 시, 자치구 등 유관 기관과의 협조체계를 유기적으로 유지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시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